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mov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고 직접 mov 명령어를 사용해서 어셈블리 프로그래밍을 해볼거에요. 지난 시간에는 gdb를 사용하여 막 짜본 프로그램을 분석을 해보았는데요, 우리가 짠 프로그램의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 기억하시나요?? 네,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프로그램의 종료를 알리는 신호를 주지 못해서 Segmentation fault가 발생한다는 점이었습니다. 프로그램의 끝은 시스템 콜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시스템 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종료시키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자 그럼 MOV 명령어는 무엇이냐!!? MOV : 데이터 복사를 담당하는 명령어 # 레지스터 -> 레지스터 (레지스터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복사) # 메모리 레지스터 (메모리에서 레지스..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실습 환경 구축이 완료되었으니 오늘은 프로그램을 한번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에 앞서 앞으로 사용할 Vim 편집기와 이번 시간에 사용할 어셈블러인 NASM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앞으로 모든 실습을 root 권한을 얻은 상태에서 진행할 것이기 때문에 여러분들은 감안하셔서 보시면 됩니다. vim 설치 : apt-get install vim 이미 설치를 완료했기 때문에 여러분들과 결과가 조금 다를 수 있어요. nasm 설치 : apt-get install nasm 필요한 도구들을 설치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우분투에 내장되어있는 vi 에디터가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아서 vim 에디터를 사용하겠습니다. 실습을 진행할 디렉토리는 여러분들이 자..
- Total
- Today
- Yesterday
- vim
- 사이버공격
- mov
- 논리연산
- 스택
- reversing
- 치트엔진
- call
- 어셈블리
- 우분투
- add
- 리눅스
- nasm
- instruction
- 리버싱
- Sub
- 리눅스 시스템 콜
- jmp
- 리버스 엔지니어링
- 터미널
- 어셈블리어
- system call
- Push
- cmp
- 해킹
- gdb
- 어셈블러
- ubuntu
- 명령어
- linu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